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기타

[피임약(1)] 경구피임약 궁금한 내용 알려드려요 (생리 미루기? 하루 빼먹으면? 장기복용?)

by 헬렌 Helen 2025. 1. 6.
반응형

 

헬렌케어 약국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다양한 정보들이 있는 블로그 입니다.


피임약은 원치 않는 임신을 방지하는 약이기도 하지만, 불규칙한 생리주기를 개선시켜주고 생리통을 줄여주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여행 및 시험 등 피치 못할 사정이 있을 경우 생리 주기를 미루기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경구피임약은 많은 여성분들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지만, 호르몬제 이기 때문에 복용법과 주의사항이 굉장히 중요한 약입니다. 오늘은 피임약을 드시는 여성분들이 많이 궁금해 하시는 사항에 대한 Q&A를 정리해 봤습니다.


피임약 복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먼저, 피임 목적으로 경구피임약을 복용할때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생리 첫날부터 매일 1정을 식사와 상관없이 같은 시간에 복용하도록 합니다.



28일을 기준으로 생리 첫날부터 21일간 복용을 시작한 뒤, 7일간 휴약기간 (=위약 복용기간)을 갖습니다.
휴약기간 동안 생리가 시작하게 되며, 생리의 시작 여부와 관계없이 7일후 다시 피임약을 복용합니다.
약을 계속 규칙적으로 복용한다면 휴약기에도 피임효과가 지속됩니다.

 


생리 시작일을 놓쳤다면?

 


1) 생리 2~5일째 복용을 시작하게 된다면 

: 복용을 시작해도 되지만, 첫 7일 동안은 임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조피임법을 병행하도록 합니다.

 

​2) 생리 6일째 복용을 시작하게 된다면 

: 다음 생리주기부터 복용을 시작하도록 합니다.




피임약으로 생리를 미루려면 언제부터 복용을 해야되나요?

 


다음은 생리지연 목적으로 피임약을 복용하는 경우입니다.


생리 일정을 미루려면, 예정일보다 10일 전에 피임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늦어도 일주일 전부터 복용해야 월경을 미룰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원하는 생리시작일까지 매일 같은 시간대에 피임약을 복용하면 그때까지 생리 미루기가 가능해집니다.

원하는 날짜에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되며, 빠르면 그 다음날 생리가 나오고 늦으면 2-3일 후에 시작됩니다.



피임약 복용을 하루 빼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피임약을 빼먹는 상황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시간오차에 따른 다양한 상황을 같이 보면서 복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2시간 이내에 깜빡했을 경우


생각난 즉시 바로 복용하고, 다음날부터는 원래 정해져 있던 시간에 복용을 하면 됩니다.



12시간 초과하였을 경우


일단 피임효과가 감소될 수 있고, 복용 주차에 따라 대처방법이 달라집니다.


1) 복용 1주차인 경우


- 즉시 1알 복용 (한번에 2알도 가능)한 후, 다음부터는 원래 정해져 있던 시간에 복용을 계속합니다.

- 다만 복용 후 7일간 보조피임법을 병행해야 하며, 만약 이전 7일간 성관계가 있었을 경우 임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복용 2주차인 경우



- 즉시 1알 복용 (한번에 2알도 가능)한 후, 다음부터는 원래 정해져 있던 시간에 복용을 계속합니다.

- 2정 이상 복용을 잊은 경우 또는 복용을 잊기 직전 7일간 빠뜨린적이 있다면 복용 후 첫 7일간 보조피임법을 병행해야 합니다.



3) 복용 3주차인 경우



- 즉시 1알 복용(한번에 2알도 가능)한 후, 다음부터는 원래 정해져 있던 시간에 복용을 계속합니다.

- 지난 7일간 지속적으로 복용한 경우에는 : 

  i. 현재 약 포장을 계속 복용한 후 휴약기간없이 새 포장을 복용합니다.

  ii. 현재 포장 복용을 중단하고 7일간 휴약 후 새 포장을 복용합니다.

 *보조피임법을 병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 지난 7일간 지속적으로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

현재 포장을 계속 복용 후 휴약 기간 없이 새 포장을 복용합니다. * 복용 후 7일간 보조피임법을 병행합니다.





복용하던 경구피임약을 다른 제품으로 바꾸고 싶어요.



기존 경구피임약에서 새로운 경구피임약으로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음 월경주기를 기다릴 필요도 없고, 피임약의 농도와도 무관합니다.



다만 기존에 복용하던 피임제가 위약(활성 성분이 없는 약)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위약을 모두 복용한 후 다음날 복용을 시작하도록 합니다.

또한 바꾸는 시점이 월경시작일로부터 5일 이후라면 7일동안은 보조피임법도 병행해야 합니다.

 

 


경구피임약을 얼마나 장기간 복용할 수 있나요?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면서 불편함이 없고,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다면 장기복용해도 문제 없습니다.


다만 5년 이상 경구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의 경우 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었는데요, 요새는 피임약의 에스트로겐 함량이 매우 낮아져서 유방암 위험도가 많이 낮아졌습니다. 또한 자궁내막암이나 난소암의 위험성은 오히려 복용했을 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 외에 기타 궁금증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반응형